본문 바로가기
야무진 육아

육아휴직 중에도 돈 아끼는 법! 절세 전략 + 정부 지원금 총정리 (2025 최신판)

by resa-home 2025. 4. 12.
반응형

“육아휴직은 행복하지만… 한편으론 걱정도 많죠.
당장 소득은 줄어들고, 아이를 키우는 데 드는 비용은 늘어나니까요.

그런데 아세요?
정부가 마련한 육아 지원 제도연말정산 절세 전략을 잘 활용하면
생각보다 훨씬 가볍게 육아휴직 기간을 보낼 수 있다는 것!

💡 이 글에서는

  • 연말정산에서 꼭 챙겨야 할 육아 관련 세액공제
  • 육아휴직 중에도 받을 수 있는 각종 지원금
  • 정부 사이트 링크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.

아이와 보내는 소중한 시간, 경제적인 스트레스는 줄이고
진짜 ‘행복한 육아휴직’을 누려보세요!”

 

 

✨ 육아휴직 중 절세 전략

1. 연말정산 자녀 세액공제 활용

  • 첫째 자녀: 15만 원
  • 둘째 자녀: 20만 원
  • 셋째 자녀 이상: 30만 원육아휴직 중에도 자녀 세액공제를 통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

2. 산후조리비 세액공제 확대

2024년부터 소득 기준 없이 산후조리비에 대한 의료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 연 200만 원 한도로 공제되며, 관련 영수증을 꼭 보관하세요.

3. 주택청약종합저축 세액공제

연간 240만 원까지 납입 시 최대 96만 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 육아휴직 중에도 납입을 유지하면 장기 복리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. 

4. 연금저축 및 IRP 활용

연금저축과 개인형 퇴직연금(IRP)에 납입하면 연말정산 시 추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 육아휴직 중에도 소액이라도 납입을 유지하면 절세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.


💰 육아 관련 정부 지원금 총정리 (2025년 기준)

1. 첫만남이용권

  • 첫째 자녀: 200만 원
  • 둘째 자녀 이상: 300만 원
  • 출생 후 1년 이내 사용 가능한 바우처로, 생필품 구매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.

2. 부모급여

  • 0~11개월: 월 100만 원
  • 12~23개월: 월 50만 원 자녀의 연령에 따라 매월 현금으로 지급됩니다.

3. 아동수당

0세부터 만 7세까지 매월 10만 원이 지급됩니다.

4. 양육수당

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이용하지 않는 가정에 월 10만 원이 지급됩니다.

5. 육아휴직 급여

  • 기본: 통상임금의 80% (상한 150만 원, 하한 70만 원)
  • 6+6 부모 육아휴직제: 첫 6개월간 통상임금의 100% (월 최대 450만 원) 육아휴직 급여는 고용노동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6. 아이돌봄 서비스

맞벌이 가정 등을 대상으로 연 960시간까지 아이돌봄 서비스를 지원합니다.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 지원 비율이 달라집니다.


📝 마무리하며

육아휴직 기간은 자녀와의 소중한 시간을 보내는 동시에, 가정의 재정 관리를 재정비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. 위에서 소개한 절세 전략과 정부 지원금을 적극 활용하여,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육아 환경을 조성하시길 바랍니다.

더 자세한 정보나 신청 방법은 정부24, 복지로, 고용노동부 등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