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“육아휴직은 행복하지만… 한편으론 걱정도 많죠.
당장 소득은 줄어들고, 아이를 키우는 데 드는 비용은 늘어나니까요.그런데 아세요?
정부가 마련한 육아 지원 제도와 연말정산 절세 전략을 잘 활용하면
생각보다 훨씬 가볍게 육아휴직 기간을 보낼 수 있다는 것!💡 이 글에서는
- 연말정산에서 꼭 챙겨야 할 육아 관련 세액공제
- 육아휴직 중에도 받을 수 있는 각종 지원금
- 정부 사이트 링크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.
아이와 보내는 소중한 시간, 경제적인 스트레스는 줄이고
진짜 ‘행복한 육아휴직’을 누려보세요!”
✨ 육아휴직 중 절세 전략
1. 연말정산 자녀 세액공제 활용
- 첫째 자녀: 15만 원
- 둘째 자녀: 20만 원
- 셋째 자녀 이상: 30만 원 육아휴직 중에도 자녀 세액공제를 통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
2. 산후조리비 세액공제 확대
2024년부터 소득 기준 없이 산후조리비에 대한 의료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 연 200만 원 한도로 공제되며, 관련 영수증을 꼭 보관하세요.
3. 주택청약종합저축 세액공제
연간 240만 원까지 납입 시 최대 96만 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 육아휴직 중에도 납입을 유지하면 장기 복리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.
4. 연금저축 및 IRP 활용
연금저축과 개인형 퇴직연금(IRP)에 납입하면 연말정산 시 추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 육아휴직 중에도 소액이라도 납입을 유지하면 절세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.
💰 육아 관련 정부 지원금 총정리 (2025년 기준)
1. 첫만남이용권
- 첫째 자녀: 200만 원
- 둘째 자녀 이상: 300만 원
- 출생 후 1년 이내 사용 가능한 바우처로, 생필품 구매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.
2. 부모급여
- 0~11개월: 월 100만 원
- 12~23개월: 월 50만 원 자녀의 연령에 따라 매월 현금으로 지급됩니다.
3. 아동수당
0세부터 만 7세까지 매월 10만 원이 지급됩니다.
4. 양육수당
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이용하지 않는 가정에 월 10만 원이 지급됩니다.
5. 육아휴직 급여
- 기본: 통상임금의 80% (상한 150만 원, 하한 70만 원)
- 6+6 부모 육아휴직제: 첫 6개월간 통상임금의 100% (월 최대 450만 원) 육아휴직 급여는 고용노동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6. 아이돌봄 서비스
맞벌이 가정 등을 대상으로 연 960시간까지 아이돌봄 서비스를 지원합니다.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 지원 비율이 달라집니다.
📝 마무리하며
육아휴직 기간은 자녀와의 소중한 시간을 보내는 동시에, 가정의 재정 관리를 재정비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. 위에서 소개한 절세 전략과 정부 지원금을 적극 활용하여,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육아 환경을 조성하시길 바랍니다.
반응형
'야무진 육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육아맘이라면 꼭 알아야 할 정부 지원금 총정리!(최신버젼총정리가이드) (11) | 2025.04.18 |
---|---|
엄마들 모임, 꼭 참여해야 할까? 여왕벌 엄마 없이 현명하게 중심 잡는 법 (2) | 2025.04.12 |
2025 황금연휴 어디가지? 5월 아이와 함께 가기 딱 좋은 국내외 여행지 (9) | 2025.04.12 |
어린이집·유치원 학부모 상담 완벽 준비! 꼭 물어봐야 할 질문 리스트 & 효과적인 상담 TIP (5) | 2025.03.24 |
서울 어린이박물관 & 과학관 추천📢! 가족 나들이에 딱! (10) | 2025.03.11 |